programming/GIT
git stash 사용하기
헤써니
2020. 12. 28. 02:11
git을 사용하다 보면 현재 작업중인 사항들을 백업해야 할 때를 마주합니다.
그럴때 유용하게 쓸 수 있는 git 명령어가 git stash 입니다.
git stash
워킹 디렉토리의 변경사항들을 저장합니다.
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들
git stash list [<options>]
git stash show [<options>] [<stash>]
git stash drop [-q|--quiet] [<stash>]
git stash ( pop | apply ) [--index] [-q|--quiet] [<stash>]
git stash branch <branchname> [<stash>]
git stash [push [-p|--patch] [-k|--[no-]keep-index] [-q|--quiet] [-u|--include-untracked] [-a|--all] [-m|--message <message>] [--pathspec-from-file=<file> [--pathspec-file-nul]] [--] [<pathspec>…]]
git stash clear
git stash create [<message>]
git stash store [-m|--message <message>] [-q|--quiet] <commit>
실상 여기서 제가 사용을 자주 하는 것은 git stash, git stash pop 입니다. (하나의 stash만을 다루는 때가 거의라..)
git stash: commit 되지 않은 모든 변경사항을 잠시 숨깁니다. (임시저장)
하려던 작업(pull, merge)이 끝나면
git pop: 잠시 숨겼던 변경사항을 다시 꺼내옵니다. (stash 리스트에서는 사라집니다.)
참고사이트
자세한 사항은 공유한 git 사이트를 확인해주세요!
더보기